코로나19 장기화…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개편 <br />"감당 가능한 수준 이하로 코로나19 유행 통제가 목표" <br />"코로나 공존 시대에 지속 가능한 거리두기 설계가 목표" <br />"기존 3단계 세분화…격상 기준 상향·권역별 대응 강화"<br /><br />[박능후 /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] <br />거리두기가 오랜 기간 이어지며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수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많은 전문가들은 코로나19와 장기적 공존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획일적인 시설 폐쇄 등의 지나친 대응보다는 감당 가능한 위험 수준 이하로 유행을 통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축적된 경험과 지식 그리고 강화된 방역과 의료체계 역량을 반영할 필요도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관리 가능한 수준에서의 안정적인 억제를 중시하면서 보다 지속가능한 체계를 목표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재편하고자 합니다. <br /> <br />먼저 기존의 3단계 체계를 보다 세분화하고 권역별 대응을 강화할 것입니다. <br /> <br />국민들이 익숙하신 1.5단계, 2.5단계를 추가하여 1단계는 생활방역, 1.5단계와 2단계는 지역유행, 2.5단계와 3단계는 전국유행으로 분류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기존의 3단계별 조치의 강도의 차이가 커 실제는 5단계 체계로 운영하는 점을 고려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세분화된 단계 중에서 지역유행 단계까지는 유행 권역을 중심으로 방역을 강화하고 우리 의료체계의 통상적인 대응 범위를 초과하는 전국유행 단계에서는 전국 단위로 강화된 방역조치를 적용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그간 확충된 중환자 치료병상의 여력을 고려하여 단계 격상 기준을 조정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주간 평균 일일 환자 수를 핵심지표로 하되 60대 이상 환자 비율, 집단감염 양상 등 다양한 지표를 참고하여 단계 조정 여부를 판단할 것입니다. <br /> <br />예를 들어 수도권인 경우 하루 평균 100명 이상의 국내 환자가 1주간 발생하는 경우 1.5단계로 격상을 고려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두 번째로 각 단계별로 위험시설과 활동에 대한 보다 정밀한 방역체계를 마련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다중이용시설은 기존의 고, 중, 저위험 시설의 3층 구조에서 중점관리시설과 일반관리시설로 단순화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중점관리시설은 밀접, 밀집 접촉이 많고 마스크 착용이 어려우며 집단감염이 다수 발생한 곳으로 유흥시설, 노래연습장 등 9종입니다. <br /> <br />일반관리시설은 PC방, 학원, 목욕탕, 상점 등 14종입니다.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110116502452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